지구가 아프다는 신호는 해를 거듭할수록 잦아지고 있다. 미세먼지 주의를 알리는 핸드폰 알림 체크로 아침을 시작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이제 마스크는 몇 년 전부터 외출할 때 꼭 착용해야 하는 필수품이 됐다. 마스크 대란까지 이어지고 있는 요즘, 맑고 깨끗한 날을 더욱 기다리게 된다.
글 강일서 | 자료 출처 tvN, 네이버 영화 |
참고 자료 한국기상학회 기상학백과, 국토환경정보센터
방진 마스크와 방호 안경
최소 3일분의 충분한 음료수(일일 1명당 약 4리터)
가족과 반려동물용을 위한 최저 3일분의 충분한 보존 음식
랩(전화제품에 화산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휴대용 램프나 손전등, 배터리용 라디오와 예비 배터리
추위를 대비한 모포와 따뜻한 의류, 난로나 스토브용의 예비 연료
가족과 반려동물용의 예비 의약품 및 구급함 준비
청소 용구(빗자루, 청소기와 교환용 쓰레기봉투·필터, 삽) 구비
소액의 현금과 자동차에 갇힐 경우를 대비해 차내 방재용품 준비
문과 창문을 닫은 후 물을 묻힌 수건을 문의 빈틈이나 환기구에 두고, 실바람이 들어오는 창문에는 테이프를 붙인다.
깨지기 쉬운 전화제품에 커버를 씌우고, 주위의 화산재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커버를 치우지 않는다.
배수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낙수받이나 배수관을 지붕의 홈통으로부터 분리한다. 홈통도 막히지 않도록 화산재와 물이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급수용으로 빗물수집 시설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는 화산재가 내리기 전에 그 수집 시설과 탱크에 연결된 파이프를 분리시킨다.
만약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 천식일 경우는 실내에 머무르고, 불필요하게 화산재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가축의 식료나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미리 확인한다.
어린이가 있는 경우는 학교 방재계획에 관심을 갖고, 실내에서 지낼 수 있도록 게임이나 놀이를 준비한다.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게, 침착하고 냉정하게 행동한다.
화산재가 그칠 때까지 실내에 머무르며, 실외에 있을 경우 피난 시설(차나 건물 등)을 찾는다.
마스크나 손수건 또는 의복으로 코와 입을 덮고, 비상연락을 하지 않는 경우 전화선을 분리한다.
화산재 낙하 전, 예보를 들은 경우 직장에서 귀가한다.
자신이 있는 지역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화산분출이나 청소 계획의 정보를 모은다.
각막에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콘택트렌즈(contact lens)를 착용하지 않는다.
물에 화산재가 들어간 경우, 침전할 때까지 기다려서 웃물을 사용한다. 음료수에 화산재가 들어 있어도 맛이 나쁘지 않으면 대개의 경우, 건강에는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급수 시설에 다량의 화산재가 들어 있는 경우, 식기세척기나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